본문 바로가기

News & Column184

20230401. 제주43미술제 - 기억의 파수, 경계의 호위 2023. 30회 4·3미술제● 전시명 :기억의 파수, 경계의 호위 ● 전시기간 :기억의 파수: 2023. 3. 7(화) ~ 5. 21(일) (83일간) 경계의 호위: 2023. 4. 1(토) ~ 4. 30(일) (30일간) ※ 개막식: 2023. 4. 2(일) 15:00● 전시장소 :제주현대미술관, 예술공간 이아, 산지천갤러리, 포지션민제주● 참여작가 :국내 및 해외 작가 90여명● 컨퍼런스 : 2023. 4. 1(토) ~4. 3(월) (3일간) ● 주 최 :탐라미술인협회● 주 관 : 4·3미술제조직위원회● 후 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현대미술관, 포지션민제주 2025. 4. 2.
20230323. 전주윤슬 5월호 - 전주를 살다 간 미술가 – 고암 이응로 20230323. 전주윤슬 5월호전주를 살다 간 미술가 – 고암(顧菴) 이응로(李應魯)유대수/판화가, (사)문화연구창 대표 1920년대를 전후하여 양화(洋畵)의 도입이 서울 지방을 가리지 않고 넘쳐나는 가운데 전주 역시 서울화단 못지않게 수많은 ‘신미술’ 화가를 배출한다. 그 중 충남 홍주(현재 홍성) 태생으로 전주에 내려와 살면서 많은 서화가들과 교류하며 초기 화업을 구축한 미술가로 고암 이응로(顧菴 李應魯, 1904~1989)가 있다. 동아시아 서화 전통을 활용해 현대적 추상화를 창작한 한국 현대미술사의 거장으로 불리는 이응로는 1922년 19세에 해강 김규진의 문하생으로 본격적인 미술가의 길을 걷는다. 1924년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청죽>이란 작품으로 첫 입선을 하며 주목을 받기 시작한 이응로는 다.. 2025. 4. 2.
20221201. 16회전 - 산산수수/우진문화공간 제목: 산산수수山山水水> 유대수 목판화전ㆍ열여섯 번째기간: 2022. 12. 1.(목) ~ 12. 14.(수) *월요일 휴관장소: 우진문화공간 전시장 (전주시 덕진구 전주천동로 376 063-272-7223)----------------------------------------------------------------○ 판화가 유대수의 열여섯 번째 개인전이 우진문화공간 전시장에서 12월 1일(목)부터 14일(수)까지 개최된다.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산산수수>를 주요 테마로 삼은 대형 목판화와 함께 숲> 시리즈 등 3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 이번 전시는 이전 숲> 시리즈에 이어 무수히 반복되는 치밀한 판각과 함께 역동적이고 자유로운 필획으로 채워져 복잡한 세상 속에서 자기 존재를 확인하고자 하는.. 2025. 4. 2.
20221117. 한뼘미술관 2주년전/우진문화공간 2025. 4. 2.
20221010. 마음의 서랍 - 김헌수 시집에 덧대는 감상 마음의 서랍 - 김헌수 시집에 덧대는 감상 화가를 꿈꾸던 시인, 시를 쓰는 화가, 둘 다 그녀다. 그녀가 소곤소곤 말을 걸어온다. 진공(眞空)의 깊은 바닥으로부터 시작되었을, 잔잔하지만 진득한 속삭임에 잠시 미뤄두었던 멜랑콜리가, 오랜 시간 쟁여진 그리움이, 잊은 줄 알았던 그때 그 사랑이 문득 선명해진다. 환청처럼 환영처럼 다가오는 말과 그림 사이, 그녀가 기꺼이 남겨준 여백을 떠돌다 결국 내 마음의 서랍도 열릴 참이다. 그렇게 마음과 마음이 만나 위로하고 위로받으리라.  유대수/화가, (사)문화연구창 대표 2025. 4. 2.
20220719. 제10회 울산국제목판화페스티벌 연합뉴스 > https://www.yna.co.kr/view/AKR20220707115200057 제10회 울산국제목판화페스티벌 울산박물관서 19일 개막 | 연합뉴스(울산=연합뉴스) 이상현 기자 = '우리가 공유하는 세계의 평화'를 주제로 한 제10회 울산국제목판화페스티벌이 19일부터 다음 달 14일까지 한...www.yna.co.kr매일경제 >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2/07/597976/ 제10회 울산국제목판화페스티벌 울산박물관서 19일 개막울산제일일보 주최…국내외 작가 118명 200여 작품 선 봬www.mk.co.kr울산제일일보 >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08508 “지친 일상에.. 2025. 4. 1.
20220712. 한여름 미술산책 - 줄라이6 전시제목: 줄라이6>전전시일시: 2022. 7. 12(화) ~ 8. 7(일) 25일간(월요일 휴관)전시장소: 향교길68 갤러리(전주시 완산구 향교길68)전시주최: 향교길68 갤러리전시기획: 유대수참여작가: 김연경, 김영란, 박마리아, 유대수, 이봉금, 이올ㅡ 프레시안 > http://naver.me/IDbs2mEL 문화공간 '향교길68' 기획초대전 '줄라이 July6' 마련전주에서 활동하는 젊은 작가들과 중견 작가 6명 출품 전주한옥마을 문화공간 '향교길68'이 휴가철인 7월을 맞아 기획초대전 ‘줄라이 July6’를 마련했다. 전주에서 활동하는 젊은 작가들과 중견n.news.naver.comJB포스트 > http://www.jb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2.. 2025. 4. 1.
20220701. 전북판화 30년 - 다시, 판화 Restart, Print. [보도자료] ‘전북판화 30년 – 다시, 판화 Restart, Print’ 展인쇄ㆍ출판에서 예술로,전북 현대판화 30년의 뿌리와 역사를 한자리에 펼쳐내어 ‘다시, 판화’의 내일을 모색하는 한여름 판화 잔치!동판, 석판, 목판, 실크스크린, 디지털판화, 설치판화 등 32명 작가, 150여 점의 다채로운 작품 선보여ㅡ‘판화’를 아십니까? 누구나 한번쯤은 어릴 적 지우개에 이름을 새겨 도장처럼 찍어보거나, 학창시절 미술시간에 흑백 고무판화를 새겨본 추억이 있을 것이다. 판화에 대한 이런 소박한 기억을 훌쩍 뛰어넘게 해줄 특별한 전시가 여름의 시작을 산골바람처럼 시원하게 열어준다. (재)전주문화재단(대표이사 백옥선)이 전북 현대판화의 역사를 정리하고, ‘판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호기심과 궁금증을 풀어줄 특색 있.. 2025. 4. 1.
20220401. 전주윤슬 4, 6월호 전주윤슬 4월호>전주가 보이는 이 한 장의 그림 - 동창(東暢) 이경훈(李景薰)의 ‘다가공원에서 바라본 풍경’유대수/판화가, (사)문화연구창 대표, 다가공원에서 바라본 풍경, 1960, 개인 소장> 예부터 풍부한 서화 전통으로 자타 공인 예향의 도시라 불리는 전주에는 근현대 미술의 역사를 열어간 인물들이 많다. 그중 전북 근대화단의 1세대로 꼽는 이순재(李舜宰), 박병수(朴炳洙), 김영창(金永昌)에 뒤이어 동경제국미술학교에서 신미술을 공부하고 돌아온 동창(東暢) 이경훈(李景薰, 전북 남원生, 1921~1987)은 이미 고보시절 전국학생미술전람회와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여 재능을 과시했고, 1943년 귀국한 뒤 전주에 정착하며 활발한 창작과 발표활동에 매진한다. 1947년 이리(익산)에서 처음이자 마지막 .. 2025. 4. 1.
20220301. 아트모악-작은 그림전. 전북일보 > https://www.jjan.kr/article/20220301580347 “유휴열미술관 전시로 봄나들이 어떠세요?”유휴열 미술관(관장 유가림)이 오는 4월 30일까지 봄 향기 가득한 ‘아트 모악-작은 그림’전을 연다. 유휴열 미술관은 개관 2주년을 맞이해 생활 속에서 조금 더 가깝고 다채로운 작품을 경험할www.jjan.kr 전북도민일보 > https://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73636&sc_section_code=S1N9 유휴열미술관, ‘Art Moak - 작은 그림’展 … 묵묵히 작업에 몰입하고 있는 청년부터 중견까지 35새봄을 맞아 유휴열미술관(관장 유가림)이 봄나들이를 떠나는 기분을 만끽할 수 있는 아기자기한 전시회를 .. 2025. 4. 1.
20220201. 한 뼘 미술관 - 월간 그리움 열여섯 번째 https://www.facebook.com/permalink.php?story_fbid=4687767927938502&id=100001160222668 로그인 또는 가입하여 보기Facebook에서 게시물, 사진 등을 확인하세요.www.facebook.com인간의 발걸음은 순간순간 장소를 바꿔줍니다. 같은 공간에 머물러 있는 것 같지만 미세한 풍경의 움직임에 따라 인간의 시선을 진화시킵니다. 이것은 마치 어린아이가 바닥을 기어 다니다가 두 다리로 우뚝 서는 일과 같습니다. 그 경이의 순간 지구는 스스로 놀라자빠집니다. 단순히 아이가 지구의 중력을 이겨내서가 아닙니다. 걸음을 걸으며 자신만의 무늬를 만들 줄 아는 힘이 생겼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걸음은 내가 나를 낳는 현재로 둔갑합니다. 모든 걸음은 자취.. 2025. 4. 1.
20211217. 백인청춘예술대상 전북도민일보 > https://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66871&sc_section_code=S1N9  제3회 백인청춘예술대상, 유대수-박영준 수상 - 전북도민일보지역의 청년예술가 100명의 후원으로 진행된 제3회 백인청춘예술대상 시상식이 구랍 31일 문화공간 기린토월에서 진행됐다. 2019년 시작된 백인청춘예술대상은 지역에서 문화예술 활동을 이어가www.domin.co.kr전라일보 > http://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46157  제3회 백인청춘예술대상, 유대수 목판화가-박영준 제작감독 수상 - 전라일보제3회 백인청춘예술대상 시상식이 지난해 12월 31일 문화공간 기린토월에서 진행.. 2025. 4. 1.
20211126. 풍류잡설, ‘우리 식’으로 놀기, 그리고 재현의 가능성 - 꽃심포럼 [꽃심 포럼] 장소로 본 전주 정신 / 2021.11.26.(금) 14:00~17:30. 전주시립도서관 꽃심풍류잡설, ‘우리 식’으로 놀기, 그리고 재현의 가능성유대수 / 화가, (사)문화연구창 대표 1. 풍류잡설“전주-선비처럼 놀고 한량처럼 마시다.” 전주를 안내하는 어느 여행 웹진의 머리말이다. ‘1,000년 역사의 자존심을 간직한 가장 한국적인 고장, 전주를 찾았다. 그리고 풍류를 마셨다.’를 첫 문장으로 시작하는 이 글은, 전주 여행 1번지로 한옥마을과 경기전, 학인당을 소개하고 특히 전주 막걸리 문화에 대해 길게 설명하고 있다. ‘유네스코 음식창의도시’라는 명성까지 얻은 전주에는 비빔밥, 콩나물국밥과 함께 막걸리의 명성도 자자하다. 전주막걸리가 맛있는 이유는 물이 좋기 때문이다. 특히 한옥마을이.. 2025. 4. 1.
20211115. 메타버스×뜻밖의 작은 미술관 메타버스 x 뜻밖의 작은 미술관“생각에 대한 생각, 시선에 대한 시선”2021. 11. 08. – 11. 14. 메타버스 프리뷰 전시2021. 11. 15. - 11. 26. 메타버스 × 뜻밖의 작은 미술관 전시주최: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주관: 전주시. 전주대학교. 전북디지털사회혁신센터. 인디. 뜻밖의 작은 미술관 6번째 전시 “생각에 대한 생각, 시선에 대한 시선”은 메타버스와 작은 미술관을 통해 소개하는 10명의 작가 전시다. 메타버스(Metaverse)는 초월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코로나 시국에 코로나만큼 가장 회자되는 단어가 되었다. 메타버스를 통해 비대면 사회의 부족한 커뮤니티를 강화하게 되었으며 회의와 출근 또는 교육의 일.. 2025. 4. 1.
20211029. 한국근현대목판화 100년 - 刻印 [한국근현대목판화 100년 - 刻印]전2021. 10. 29. - 2022. 2. 6. 경남도립미술관.1부 목판화 아카이브2부 강경구 김억 김준권 류연복 서상환 안정민 유대수 윤여걸 이윤엽 정비파 정원철 주정이3부 조선시대 능화판 https://www.gyeongnam.go.kr/index.gyeong?menuCd=DOM_000003401001000000&pageIndex=1&exhibitKey=1481 경남도립미술관 www.gyeongnam.go.kr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뉴시스 / '각인, 한국 근현대 목판화 100년' 경남도립미술관https://news.v.daum.net/v/20211018145748462?f=m&fbclid=IwAR2GP9VItU1wRsj6BYZ0QlvRiZCdXLJ3.. 2025. 4. 1.
20211012. 전주 예술가의 아지트 - 아트 스퀘어전 [아트 수퀘어]전1. 이번 전시는 2021년 전주시의 유휴공간 활성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전주 구시가지의 빈 점포를 활용하여 진행되며 코로나 시기와 맞물려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프로그램으로는 온라인 전시와 이벤트로 경매가 진행된다. 2. 전주는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미술작가들이 활발히 작품을 제작하고 전시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코로나 상황에서도 수도권을 기점으로 부산, 대구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아트페어, 경매, 전시 등과 같은 행사를 온․오프라인으로 진행하며 갤러리, 옥션, 아트딜러 등을 통한 시스템 구축과 미술품 거래가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참여한 미술작가들 또한 올해를 기점으로 안정적인 생활과 활동의 발돋움이 되고 있다. 3. 하지만 전주는 컬렉터 층이 얇고 아트페어, 경매, 전시 등에 적.. 2025. 4. 1.
20211001. 도시갤러리 전주전 2021 「도시갤러리, 전주」는 시각예술 작품을 임대하고 전시하여 시민에게 문화예술 향유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 시각예술 작가들의 창작품을 시민에게 소개함 ◯ 작품임대 전시를 통한 작품유통 및 홍보기회 확대◯ 문턱을 낮춘 도심 속 전시 개최로 일상 속 문화예술 향유 기회 제공 전라일보https://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38409 도시갤러리, 전주 1일부터 동문거리서 진행 - 전라일보전주문화재단(대표이사 백옥선)은 2021 시각예술 지원사업 '도시갤러리, 전주' 전시회를 1일부터 30일까지 동문거리에서 진행한다...www.jeollailbo.com전주매일신문http://www.jjmaeil.com/news/view.asp?idx=1.. 2025. 4. 1.
20210909. 15회전 - 몽유남천/한국소리문화의전당 [보도자료]제목: 몽유남천夢遊南川> 유대수 목판화전ㆍ열다섯 번째 한국소리문화의전당 개관 20주년 기념 초대전기간: 2021. 9. 9.(목) ~ 10. 3.(일)장소: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시장 2층주최: 전라북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학교법인 우석학원.후원: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작가와의 대화: 2021. 9. 11.(토). 오후 4시. 본전시장관람시간: 매일 오전 10시부터 6시까지(입장마감: 오후 5시)휴관일: 매주 월요일 및 추석 당일----------------------------------------------------------------“숲의 사유에서 자연과 자아의 관계성으로”“단독자로서 인간 고독과 사유를 판각의 치밀함으로 형상화한 심상 풍경” 판화가 유대수의 열다섯 번째 개.. 2025. 4. 1.
20210805. 최명희산문나눔 문학뉴스 > https://www.munhak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5257 혼불기념사업회 기획전 ‘최명희 산문 나눔’ 성료 - 문학뉴스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작고문인선양사업’ 선정 ('최명희 산문 나눔' 전시 모습. 사진=최명희문학관 제공) [문학뉴스=윤지현 기자] 혼불기념사업회는 소설가 최명희(1947∼1998) 수필을 야외www.munhaknews.com전북의소리 > https://www.jb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5686 최명희 작가 '혼불', '수필' 영상으로 만나다 - 전북의소리소설가 최명희의 혼불과 수필을 영상으로 만날 수 있다. 최명희문학관(관장 최기우)은 소설 \'혼불\' 속 옛이야기 두 편을 영상물로.. 2025. 4. 1.
20210723. 우리 가게 예술 수장고전 ------------------------[전주다움. 2021. 09.] 동문거리가 예술로 물들다, 우리 가게 예술 수장고http://daum.jeonju.go.kr/web/page.php?pcode=A&webzine_code=nh5w6muvg4qcwmrn&fbclid=IwAR0GxJ4p3viaZQX3QrUpoOdOypdgOVM382_DytLrWipP1nUyPUzrbN0l-ps 동문거리가 예술로 물들다, 우리 가게 예술 수장고예술, 공간에 새 숨을 불어넣는다'우리 가게 예술 수장고'가 진행되는 동문예술거리 헌책방 '한가네 서점'. 전주시 미…daum.jeonju.go.kr[쿠키뉴스] 전주 동문거리, 예술 전시회로 활기 충전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1071.. 2025. 4. 1.
20210628. 전북판화가협회전/숨갤러리 2025. 3. 31.
20210527. 진천생거판화미술관 개관전 2025. 3. 31.
20210511. 음영으로 인간 세계를 표현한다 - 프롬히어 2025. 3. 31.
20210504. 나무, 그림이 되다/예술의전당 신비로운 블록버스터 판화의 세계 "나무, 그림이 되다"展# 1부 국토: 김준권, 류연복, 김억, 정비파, 손기환, 홍선웅# 2부 사람: 정원철, 이태호, 유근택, 강경구, 이동환, 이윤엽,# 3부 생명: 윤여걸, 유대수, 안정민, 배남경, 김상구, 강행복- 기간: 2021. 5. 4(화)~ 30(일)- 장소: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전관- 주최: 예술의 전당 / 한국목판문화연구소- 현대 한국판화의 가장 큰 변화로 1980년대 '목판화운동'을 빼 놓을 수 없다. 민주화운동 시기 일군의 젊은 작가들이 다수 참여하여, 실용과 실천의 미학을 기치로 시작한 '목판화운동'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이미 다양하게 분석되고 있으나, 여전히 한정된 틀 안에서만 평가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안타까움이 있다. 한 시대의 현.. 2025. 3. 31.
20210209. 무원 - 최북미술관 초대 3인전 최북미술관 초대3인전-무원20210209 - 0411 참여작가/ 고형숙(한국화). 유대수(판화). 장근범(사진) [기획글]3인전을 준비하며 고립무원孤立無援고립되어 구원을 받을 데가 없음. 홀로 있어 도움받을 수 없는 처지. 어찌할 도리가 없는 위태로운 상황. 재난의 시대2019년 겨울, 잠깐 스쳐가는 괴이한 질병이라 무심히 여겼던 COVID19는 벌써 1년여를 넘기며 ‘어찌할 도리가 없는 위태로운 상황’을 되풀이하고 있다. “위기를 기회로”라고 이야기 하지만 그 위기의 깊이는 어느 정도인지, 기회는 어떤 방식으로 취해야 하는지, 이 모든 시간의 끝에서 맞닥트릴 변화의 파장은 어떤 모습일지 짐작하기 힘들다. 삶과 예술 현장의 혼돈에 대해 논의하고 싶어도 우리는 만날 수조차 없다. 그야말로 고립무원. ‘구원.. 2025. 3. 29.
20200820. 14회전 - 화담 - 판화산책/PlanC [보도자료]제목 : 유대수 목판화전ㆍ열네 번째 화담-판화산책>기간 : 2020. 8. 20(목) - 8. 27(목)장소 : 사용자공유공간 PlanC*전주시 완산구 은행로 30(전주한옥마을 동학기념관 옆)관람시간 : 매일 오후 1시부터 7시까지* 휴관없음. 코로나19로 별도의 개막식은 없습니다.*연락처 : yds1719@gmail.com*대수공방 : 전주시 완산구 전주천동로 86-------------------------------------------------------100여점의 판화 소품과 함께 하는 산책의 시간전주한옥마을 PlanC에서 8월 20일(목) ~ 27일(목)까지 ○ 판화가 유대수의 열네 번째 개인전 ‘화담-판화산책’이 전주한옥마을 PlanC에서 8월 20일(목)부터 27일(목)까지 열.. 2025. 3. 29.
20200706. 전북판화가협회전. 28회 2025. 3. 29.
20190924. 전북판화가협회전 2025. 3. 28.
2019. 판화부채전 - 보도모음 http://jeonjufan.kr/221521511694 2019전주부채문화관 특별기획-유대수 판화부채展2019전주부채문화관 특별기획-유대수 판화부채展​전시기간: 2019년 4월 25일~5월 14일전시장소: 전주부채...blog.naver.comhttp://jben.kr/liguard_bbs/view.php?code=li_news&number=14294 판화가 유대수 ‘판화부채展’전주부채에 풍경 담아...5월 14일까지 전주부채문화관jben.krhttp://www.todayan.com/news/articleView.html?idxno=224691 전주부채문화관 판화 작가 ‘유대수 판화 부채展’ - 투데이안- 전주풍경을 담은 한정수량 리미티드 에디션 판화 부채 선보여 (사)문화연구창 전주부채문화관(관장:.. 2025. 3. 28.
20190425. 13회전 - 판화부채전/전주부채문화관 2025. 3. 28.